1인당 국민소득 10년 만에 최대낙폭...노동소득분배는 개선 “소주성 영향”
“작년 노동소득분배는 통계를 집계한 1953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
지난해 달러화 기준 1인당 GNI는 -4.3%로 줄어들며 금융위기인 2009년(-10.4%) 이후 가장 큰 폭 감소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2일 ‘2019년 국민계정 잠정통계’를 발표를 통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2,115달러로 전년(3만3,564달러)보다 4.1% 감소했다고 밝혔다. 원화 기준으로는 3,693만원에서 3,743만원으로 1.4% 증가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65.5%로 2.0%p 올랐다. 박 국장은 “작년 노동소득분배는 통계를 집계한 1953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라고 밝혔다.
노동소득분배율은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동안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가운데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가리킨다.
박 국장은 노동소득분배율이 개선된 이유에 대해 “기업 영업잉여가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데 비해 피용자보수(급여)는 국내소득과 높은 수준을 기록하면서 나타난 결과”라고 밝혔다.
한은은 작년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소주성) 정책이 노동소득분배율 상승에 일부 영향을 줬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 국장은 “소주성 관련 정책들이 일부 영향을 주면서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에 영향을 줬다”라며 “그 영향이 어느 정도였는지 정확히 말하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올해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대 유지할까
한은, 자체 경제전망치에 환율 5% 절하 연말까지 이어가면 ‘불확실’ 전망
올해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영향으로 국내총생산(GDP) 감소, 교역조건 악화 등에 따라 3만달러 유지가 불확실한 상황에 놓였다. 우리나라 1인당 GNI는 2017년 3만1,734달러로 올라서면서 지난해까지 3년 연속 ‘3만달러대’를 유지했다. 통상 1인당 GNI ‘3만달러’는 선진국 대열에 합류한 기준이 되어 왔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한은이 추정한 올해 성장률(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가 -0.2%이고, 1분기 GDP디플레이터 등락률(-0.6%)을 고려한 연간 디플레이터 등락률은 -0.8% 정도로 가정하면 올해 명목 GDP 성장률은 -1% 정도로 추정된다”라며 “여기에 환율까지 5% 정도 절하되면 달러 기준 1인당 GNI가 3만달러 밑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GNI는 한 나라의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에 생산한 총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소득지표로, 명목 GNI와 실질 GNI로 구분된다. 실질 GNI는 재화나 용역을 살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실제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국민들의 체감경기를 나타낸다.
명목 GNI는 국가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국민들이 국외에서 생산요소 제공에 대한 대가(국외순수취요소소득)와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 양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명목GDP를 더해 산출한다. 1인당 GNI는 명목GNI를 총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시장가격’은 GDP디플레이터 지표를 보면 알 수 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값으로 소비자 물가, 투자·수출입 등 모든 물가를 반영한 지표다.
앞서 지난달 28일 한은은 올해 실질GDP가 작년보다 0.2%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실질GDP는 한해동안 한 나라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물 양을 뜻해, 물가를 고려하지 않은 지표다.
한은이 이번 발표를 통해 GDP디플레이터 증가율 전망치를 -0.8%로 잡았다면 물가 하락이 악영향을 준 결과, 명목 GDP가 약 -1%로 끌어내려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여기에 국외적 시장가격인 환율까지 내려가면 명목GDP는 더욱 내려갈 수 있다. 한은은 6월 이후연말까지 월/달러 환율이 1250~1260원선이 계속되면 1인당 GNI는 3만달러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고 봤다.
박 국장은 다만 “기획재정부 등 다른 기관은 디플레이터를 플러스(+)로 보고 있기 때문에 3만달러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이 크지 않을 수 있다”라고도 밝혔다.